네트워킹(Networking)
-
1. 허브(Hub)네트워킹(Networking)/02 네트워크 장비 2024. 7. 28. 16:26
허브( Hub)랜카드가 설치된 각각의 PC들은 케이블을 타고 허브에 연결됩니다 그리고 같은 허브에 연결된 PC끼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랜카드, 케이블 그리고 허브만 있으면 내부에서는 허브에 접속된 모든 PC가 서로 통신이 가능) 허브 역시 랜카드처럼 이더넷용과 토크링용이 있고, 속도에 따라서 일반 허브(10Mbps)와 패스트(100Mbps) 허브가 있습니다. ※ 허브는 아무런 셋팅이 없어도 통신에 지장이 없습니다 허브(Hub)란?- 멀티포트, 리피터 멀티포트 :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려준다리피터 : 중간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다른 쪽으로 전달해 주는 역활, 음성 통신의 경우 엠프와 유사함ex) UTP케이블의 최대 전송 거리는 100미터 이지만 중간에 허브를 연결하면 100미..
-
랜카드네트워킹(Networking)/02 네트워크 장비 2024. 7. 28. 16:16
랜카드요즘은 랜카드 자체를 보기 어렵다랜카드가 이미 컴퓨터 안에 설치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랜카드를 직접적으로 보기를 어려울 것이다 랜카드는 보통 ‘네트워크 어탭터’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라고도 한다 데스크톱 랜카드를 선택할 경우 PC의 버스(Bus) 방식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종류내용PCI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ISA이전에 사용되는 방식EISA간혹 서버 PC에서 사용되는 ※ 버스(Bus) - 컴퓨터에서 데이터가 날아다니는 길랜카드 역시 PC의 버스 방식에 맞는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자신의 랜카드 정보를 보는 방법[제어판] → [시스템 및 보완] → [시스템] → [장치 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 정보] ※ IRQ : 인터럽트 요청 랜카드는 컴퓨..
-
DHCP네트워킹(Networking)/01 네트워킹에 들어서기 2024. 6. 8. 17:54
DHCPIP 주소를 자동으로 배정해 준다 ① 위 네트워크에서 모든 IP 주소를 DHCP 서버가 가지고 있다가 클라이언트 PC가 켜지면서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로 뿌리게 된다 ② DHCP 서버는 요청을 받고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관리하는 IP 주소 중 하나를 자동으로 주게 된다 ※ DHCP 서버 기능은 윈도우 NT나 Novell Netware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요즘은 라우터에서도 이 기능을 제공해주는 경우가 있다 DHCP에서 자동으로 IP를 받게 되어 있다
-
TCP/IP네트워킹(Networking)/01 네트워킹에 들어서기 2024. 6. 8. 17:48
TCP/IP- 인터넷은 TCP/I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 윈도우 11기준[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탭터 설정 변경] 연결된 네트워크에 마우스 우클릭 → [속성] TCP/IP가 랜카드에 세팅되어 있다. ※ IPv4 : IP는 32개의 이진수로 만들어 진다 (만들 수 있는 한계가 있다) IPv6 : IPv4의 대안으로 128개의 이진수로 사용 가능 (사용할 수 있는 주소가 크게 늘어난다) TCP/IP.......TCP? IP?TCP/IP라고 하는 것은 실은 IP계층을 사용하면서 그 위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TCP로 사용한다는 의미 OSI 7계층은 말 그대로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는 반면, TCP/IP는 통신을 크게 4가지 계층으로 나눈다 IPI..
-
프레임과 패킷네트워킹(Networking)/01 네트워킹에 들어서기 2024. 6. 7. 22:06
1. 프레임 : OSI 7Layer 중 2계층인 Data Link 계층에서 전송되는 단위로 전송 프레임에는 상위 계층에서 보낸 전송 데이터에 오류 확인을 위한 체크섬, 송수신 호스트의 주소, 기타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제어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프레임을 전송받은 호스트는 체크섬 에러를 확인하고 에러 및 변형 등의 오류를 체크한다. 에러 검출 시 재전송을 요구하여 복구 과정을 거친다. 2. 패킷 : OSI 7Layer 중 3계층인 Network Layer 에서의 단위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 L3 스위치, 라우터 등에서 전달하는 전송단위이다. 패킷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본 단위 - 데이터 통신 중에 정보를 주고 받을때, 큰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게 되는데,이 ..
-
OSI 7 Layer네트워킹(Networking)/01 네트워킹에 들어서기 2024. 6. 7. 21:18
OSI 7 Layer(레이어, 계층)- 네트워크를 7개로 나눠놓은 것은 통신의 편리를 위해서이다 (반드시는 아니지만 규율정도...)- 네트워크 구성도 Q) PC가 전자메일이 안 된다면?네트워크를 조금 아는 사람이라면 도스(cmd)에서 핑(ping)을 쏴볼 것이다 (인터넷이 끊어졌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 만약 핑을 쐈는데 이상이 없다면 일단 네트워크 계층까지는 이상이 없다고 판단(피지컬 계층 → 데이터 링크 → 네트워크 계층까지의 문제는 아니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 데이터 케이블이나 허브 등은 무슨 계층에 속할까? 답은 Physical Layer ⦁ 그럼 스위치나..
-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네트워킹(Networking)/01 네트워킹에 들어서기 2024. 6. 6. 18:34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 - 모든 PC에게 정보를 뿌리는 Shared 방식 자신의 랜카드 맥 어드레스와 목적지 맥 어드레스가 서로 다른 경우는 바로 그 프레임을 버리게 된다 이러면 CPU까지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PC의 성능이 저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 전송되는 프레임 안에 항상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 즉 맥어드레스가 들어 있어야 한다 ex) 출발지 : 00-60-80-AA-BB-CC / 목적지 : 00-60-80-DD-EE-FF 브로드캐스트- 로컬 랜에 붙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 여기서 로컬 랜이란, 라우터에 의해서 구분된 공간. 즉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라고 하는 공간을 뜻한다 ex) 동네 이장님이 마이크로 방송하는 것과 똑같다 “동네 사람..
-
맥 어드레스(MAC Address)네트워킹(Networking)/01 네트워킹에 들어서기 2024. 6. 6. 18:21
맥 어드레스(MAC Address)에 대한 이야기Q) 컴퓨터는 네트워크상에서 어떻게 서로를 구분해서 인식할까? >> 이 역활을 담당하는 것이 MAC 주소 Q) 그럼 IP 주소는? >> 통신 장비마다 IP 주소가 배정되어 있고, TCP/IP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 (TCP/IP는 IP 주소가 필요) Q) IP 주소가 있는데 MAC 어드레스는 사용하지 않아도 될까? >> IP주소와 MAC 어드레스 모두 사용한다 >> 사실 IP 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과정(ARP)을 거치고 있다 (PC에 설치된 랜카드의 맥 어드레스를 알고 싶다면 cmd → 명령어 ipconfig/all 확인 가능) ※ 위 그림에서는 단독 네트워크 (라우터를 거치지 않는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의 통신) ① PC Y와 PC Z가 통신 하..